네이버 바로가기 (www.naver.com) 최신

    반응형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는 바로 "네이버"이다. 구글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이 사용한다고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를 이기지 못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네이버는 1999년에 첫 서비스를 시작한 후 검색 엔진 기능을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오늘은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털 사이트 네이버 바로가기 www.naver.com을 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네이버(Naver)란?

    1999년 서비스를 시작한 네이버는 검색 기능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특히 우리 '한글'의 이해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탁월해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에게 가장 훌륭한 검색엔진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도입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다양한 곳에서 한 번에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어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검색기능 외에도 네이버 웹툰을 최초로 선보이며 웹툰 산업의 시초이며, 많은 독자층과 함께 다양한 웹툰 작가를 양성하고 배출해 왔다.

     

    이외에도 네이버 부동산, 네이버 쇼핑,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지도, 네이버 증권, 네이버 메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우리 삶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과의 B2B 서비스를 제공하며 네이버 워크,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통해 기업과의 연결성을 확충하고 있다.  

     

    네이버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털 사이트로 국내 최대, 최고의 위치를 지키고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훌륭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있다. 

     

     

     

     

     

    네이버 바로가기 

    네이버를 자주 사용하신다면 PC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해서 아이콘을 클릭 시 '네이버'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네이버 바로가기는 웹 브라우저마다 방법이 조금씩 상이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①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합니다.

     

    ②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눌러 네이버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③ 브라우저 메뉴에서 <즐겨찾기>, <북마크>를 선택합니다. 크롬의 경우 우측 상단 점 3개를 눌러줍니다.

     

     

     

    ④ 메뉴 하단의 <북마크 및 목록> → 현재 탭을 북마크에 추가

     

     

    ⑤ '확인' 또는 '완료'를 누르시면 우측의 네이버 아이콘을 클릭시 네이버 바로가기가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한 후,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에서 즐겨찾기나 북마크에서 네이버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간단하게 네이버 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혹은, 홈페이지 설정을 네이버로 설정해 놓으면 웹브라우저 실행 시 네이버로 자동으로 열리게 됩니다.

     

     

    네이버 바로가기 바탕화면 

    네이버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만들어 클릭 시 쉽게 네이버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① 일단, 네이버에 접속을 해주세요

     

     

    ② 우측 상단의 점 3개를 누르신 후 → 저장 및 공유 → 바로가기 만들기 

     

     

    .

    ③ 위와 같이 '바로가기를 만드시겠습니까?' 질문에 만들기를 눌러주세요

     

    ④ 이 후 바탕화면에 NAVER 아이콘이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아이콘을 클릭하면 간편하게 네이버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